▲ 2011년 12월 31일 시흥갯골에서 일출을 보다 © 최영숙 |
|
매년 새해가 되면 시흥갯골에서 해맞이를 했다.
▲ 2012년 1월 1일 홍천에서 일출을 보다 ©최영숙 |
|
2012년에는 강원도 홍천에서 새해 일출을 보게 되었다.
시흥갯골에서 맞던 해맞이를 못할 것이 못내 아쉬웠다. 2011년 12월 31일 시흥갯골로 향했다. 여명이 밝아오고 있었다.
|
바다에서 힘차게 솟아오르는 일출과 산 위에 둥실 떠오르는 일출도 아름답지만, 포동벌판과 갯골에서 만나는 일출은 또 다른 멋이 있었다.
포동 벌판에서 만난 해는 송전탑에 걸려 있다.
떠오르는 해가 마치 계란 노른자 같았다.
사행성 내만갯벌의 아름다움을 지닌 이곳 시흥갯벌에서 만나는 일출은 눈길이 시원했다.
방산대교 아래로 내려왔다. 칠면초, 벌개미취등이 서리꽃을 만나 다시 흰 꽃을 피우고 있었다.
벌개미취에 서리꽃이 피었다. 수주문학상에 이어 2011년 대산창작기금을 받은 소래문학회 임경묵 시인이 쓴 시가 생각났다. 폐염전 서리꽃 -임경묵-
소금 꽃 사라진 염전에 서리꽃 피었단 말은 소금 온다는 말처럼 반가운 말이리.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 흔들리면 피울 수 없는 꽃 밤새 염전 외곽을 서성이던 칼바람이 비루먹은 갈대밭에 몸을 얹고 까무룩 잠든 사이 피어난 꽃이리. 시린 새벽과 당당히 맞서는 날 선 결정(結晶)이리 소금 꽃 사라진 염전에 서리꽃 피었단 말은 수수 억만의 갈대가 태곳적 과두문자(蝌蚪文字)로 흰 눈썹 휘날리며 바람의 원전(原典)을 베껴 쓰는 일이리.
사람 인기척에 놀란 새들은 날아올랐다.
시흥에 이토록 아름다운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에 늘 감사한다. 아주 오래도록 또한 우리 뒤의 사람들도 오래도록 이곳에서 일출의 아름다움을 보기를 기원했다. 2012년이 밝았다. 그득하게 차오르는 저 갯골의 물길처럼 모든 분들의 소원이 그득하게 차오르기를 기대한다. -2012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좋은 일들만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