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년 만에 가장 큰 정월 대보름달이 뜨다

최영숙 | 기사입력 2009/02/10 [01:37]

52년 만에 가장 큰 정월 대보름달이 뜨다

최영숙 | 입력 : 2009/02/10 [01:37]

 

▲ 두둥실 보름달 뜨다     ©최영숙

 
보름달이 뜨는 것을 보려고 소금창고로 향하면서 하늘을 보니 구름이 잔뜩 끼었다. 오늘 대보름달을 볼 수 있을까 걱정이 되었다. 도착하니 6시였다. 서서히 어두워지는 벌판에서 보름달이 뜨기를 기다렸다. 

드디어 2009년 2월 9일 오후 6시 32분 정월 대보름달이 두둥실 떠올랐다. 반가웠다. 

보름달은 보는 것은 언제나 새롭다. 완벽하게 하나의 원을 만드는 보름달을 보고 있노라면 더 이상 바랄것이 없어서 공연히 마음이 풍성해졌다. 


▲ 방산대교 방향에서 보름달이 뜨다     ©최영숙

 
또한  세상 일은 늘 비움과 그득함의 사이를 오간다는 생각을 했다. 오늘 그득했으면 내일은 조금씩 덜어내야만 다시 채워져서 보름달이 되었다. 삶은 늘 그득 차기를 바랐기에 늘 벅찼다는 생각을 했다. 언제나 보름달이라면 세상일에 그 무슨 대수로움이 있겠는가 싶었다.

한가위 때의 보름달은 풍요로움을 느끼게 한다면 정월대보름의 달은 휘영청 떠오르는 보름달에 올해의 소원을 빌고 경건히 바라보게 했다.


▲ 2009년 정월 대보름달     © 최영숙

 
위상 천문에 따르면 달은 가장 먼 곳과 가장 가까운 곳의 거리가 5만㎞나 되는 타원형의 궤도를 돌고 있는데 이번 대보름 때인 9일 52년 만에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 도착해 가장 둥글게 보인다고 했다.


▲ 보름달 구름에 잠기다     ©최영숙

 
그러나 정월대보름달을 볼 수 있었던 시간은 짧았다.
10여분 지나자 보름달은 구름에 가렸다 보였다를 반복하다가 보이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구름이 잠시 하늘을 가리고 있을 뿐 달이 사라진 것은 아니어서 혹시나 다시 나올까 싶어서 하늘에서 눈을 뗄 수 없었다. 한 번 살짝 얼굴을 보여줬던 보름달을 더 이상 만나지 못했다.


▲ 월곶을 바라보다     ©최영숙

 
멀리 월곶이 보였다. 불야성을 이룬 그곳은 이곳 벌판과는 또 다른 세계에 있는 듯했다. 
 

▲ 월곶 방향으로 별 하나 뜨다     ©최영숙

 
오늘을 보름달 보기가 힘들겠다는 생각을 했다.  돌아 나오면서 서쪽 하늘을 바라보니 멀리 월곶방향에 하나의 별만이 떠 있었다. 어둠속에 오롯이 서 있는 소금창고는 지나간 한 시대를 기억하고 묵묵히 서 있었다. 이렇듯 과거, 현재, 미래가 서로 바라보면서 갈 수 있는 중간계가 있다면 시대의 단절이 주는 혹독한 삭막함과 서로 다른 기호를 쓰는 듯한 언어, 놀이, 정신세계에서 서로 어울어지는 중간기착지가 되지 않을까 싶었다.
  

 

▲ 방산대교를 보다     ©최영숙

 
시흥 갯골에 바닷물이 그득하다. 방산대교를 비추는 가로등들이 반사되었다.  넘실대는 바닷물이 금빛으로 흔들렸다.

  

▲ 보름달 뜨다     ©최영숙

 
정월대보름에는 달을 보면서 한해의 소원을 빈다. 올 한해는 세상이 좀 더 안전하게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가졌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주간베스트 TOP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