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제 8회 시흥갯골축제가 '소금꽃이 피었다, 갯골에 소풍가자'라는 주제로 갯골생태공원 일원에서 9월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열렸다.
축제는 흥겨운 풍물패 놀이와 약 500명의 시민들이 참여한 퍼레이드로 시작됐다. 어형선(漁形船)은 시흥의 15개동 개 동 주민자치위원회가 선체부분은 동별, 참여시민, 자치위원회의 창의적 작품으로 만들었고 목선의 하부는 기술자문을 통해 제작되었다.
▲ 정왕동 주민들 어형선을 메고 들어서다 ©최영숙 |
|
어형선(漁形船) 퍼레이드는 ‘생명의 문’을 통과하면서 시작됐다.
▲ 시흥시 15개 동에서 어형선을 들고 들어서다 ©최영숙 |
|
정석영 갯골축제위원장은 “갯골축제의 첫 단계가 어형선(漁形船)제작이었다. 시민들이 참여하는 것 자체가 축제였다. 생각을 공유하고 만들고 함께 축제에 참여하는 것이 축제라고 생각한다. 축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알아서 즐거워지는 그것이 가장 어렵지만 축제를 통해서 익숙해질 것이고 재미도 커질 것이다.”고 했다.
개막식에서 정화의 의미로 소금을 뿌렸다.
개막식 행사 중에 무지개가 떴다. 어스름한 저녁노을과 함께 뜬 무지개는 행사장을 몽환적인 분위기로 만들었다.
▲ 전망대에서 김창호 작가의 "갯골이야기" 기록사진전이 열리다 © 시흥시민뉴스 |
|
갯골전망대에서는 김창호(55)의 “갯골이야기” 기록사진전이 열렸다. ‘사진으로 보는 아름다운 시흥 갯골염전의 어제와 오늘 (1993-2013)’ 20년의 시흥갯골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겼다.
김창호(55) 사진작가는 “소금창고를 중점으로 담기 시작한 것은 1993년부터이다. 처음에는 동호인들과 왔는데 동호인들은 1 년 정도 다니다 다른 사진을 찾아 떠났고 나는 이곳은 언제 와도 좋았다. 시간 날 때마다 마음이 울적할 때에는 안식처처럼 이곳을 찾았다”며 “이번 ”갯골이야기“ 사진전을 하면서 흑백, 슬라이드, 디지털까지 만 컷 정도 되는데 주제별로 고르니 200~300장 나왔다. 장소가 협소해 한 판에 8장에서 12장을 넣었다.”고 했다. 가장 아쉬웠던 점은 “20 년 전부터 사진을 담았는데 좀 더 일찍 이쪽 사진을 담았다면 활기찬 염전의 모습을 남겼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크다고 했다.
2004년부터 시흥갯골을 사진에 담는 사람이 가장 공감하는 말이었다. 그러나 김창호 작가의 이어진 말처럼, 당시에 최선을 다했으면 그 또한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에 공감했다. 현재에 충실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김창호 작가의 "갯골이야기" 기록사진전의 전시 작품 ©최영숙 |
|
20년 전의 시흥갯골 모습을 볼 수 있음에 고맙고 감사했다.
▲ 40번째 '불꽃놀이' 창고에서 시시도 케이코 작가의 '생명의 나무'에서 어린이들이 놀다 ©최영숙 |
|
40번째 ‘불꽃놀이’ 소금창고에서는 ‘갯골축제 조각 심포지엄’의 일환으로 시시도케이코(40) 작가의 ‘생명의 나무’가 설치되어 있었다. 폐염전에 흩어져 있던 타일들과 버려진 현수막으로 ‘생명의 나무’ 작품이 전시되었다.
시흥갯골축제 마지막 날에는 어린이들이 ‘생명의 나무’ 작품 아래에서 타일로 각자 놀이를 하면서 작품을 만들고 있었다.
시시도케이코(40) 씨는 “이 작품에서 타일과 현수막을 이용해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모두 표현하고 싶었다. 어린이들이 ‘생명의 나무’ 아래에서 타일로 각자 자신들의 작품을 만들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다시 새롭게 작품을 완성하고 있다”고 했다.
▲ 소금창고 극장에서 인형극을 하다 © 최영숙 |
|
소금창고 극장에서 가족인형극 '이불꽃'을 했다.
시흥미술협회 회원 김영분(51)작가는 "‘소금꽃이 피었네’ 라는 이름으로 작품을 만들었다. 소금이라는 이미지가 주는 정제된 아름다움, 순백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싶었다. 함께 어우러져서 한 송이 두송이 꽃을 피웠으면 좋겠다.”고 했다.
해수풀 마당에서는 시흥시립여성합창단의 공연을 비롯해서 금관5중주와 시흥시립전통예술단의 공연이 있었다. 연꽃이 띄워진 무대는 또 다른 아름다움이 있었다.
어린이들은 페이스페인팅을 했다.
어린이들이 즉석에서 놀이를 만들어 내는 것을 보면서 즐거웠다. 친구들이 바닥에서 타일로 집을 만들고 있을 때 다른 친구들은 엄마와 그림자놀이를 했다.
어린이들이 염판에서 소금 모으기 체험을 했다.
시흥갯골축제 참석자들은 자전거를 타고 전기차를 타고 또는 걸었다.
소금창고로 왔다. 공사 중인 골프장과 맞닿은 소금창고는 옆에서 복토공사를 하면서 더욱 내려앉았다. 한쪽 귀퉁이로 밀려난 느낌이 들었다. 속수무책의 쓸쓸함이 밀려왔다.
부흥교를 건너 갯골여행 코스로 들어섰다. 멀리 전망대가 보였다. 이곳에서 보는 풍경이 가장 자연친화적이고 익숙했다. 이곳에서는 전망대조차도 이질적으로 보였다.
솟대가 있는 곳에서는 갈대천연염색 퍼포먼스가 있었다.
어린이들은 즐겁게 염색체험을 했다.
어린이들이 소금을 뿌리자 문양이 나타났다.
시흥갯골축제가 경기도 10대 축제에 포함되었다. 그 일환으로 찾아가는 음악회에 선정되어 시흥갯골축제에서 의정부 제 2 군악대의 공연이 있었다.
▲ 폐막식에서 김윤식 시흥시장 서해로 배를 띄우다 ©최영숙 |
|
2013년 9월 8일 오후 5시 시흥갯골축제 폐막에 맞추어 시민들의 소망을 담은 어형선을 서해로 띄워 보냈다.
어형선들이 시민들의 소망을 담고 서해로 떠났다.
▲ 어쿠스틱 음악제에서 1위를 한 '길소굿' 노래하다 ©최영숙 |
|
어쿠스틱 음악제는 음원을 통해 18명이 선발되었다. 경선을 통해 6명이 본선에 올랐다.
▲ 2012년 대상 수상자 '탕탕글루브' 공연하다 ©최영숙 |
|
2012년 대상 수상자 '탕탕글루브'가 축하 공연했다. 반가웠다. 사진을 담는 일은 상대방와 눈을 맞추는 일이어서 다음에 만나게 되면 기쁘다. 여전히 활기차고 당찬 모습이 아름다웠다. 음악도 더욱 깊어져 있었다.
▲ 어쿠스틱 음악제에서 '길소굿' 대상 수상하다 ©최영숙 |
|
어쿠스틱 음악제에서 1위는 한양대학교에서 활동 중인 ‘길소굿’이 차지했다. 2위는 품프리츠, 3위는 미스티스가 받았다. 상금은 1등 300만원 2등 100만원 3등 50만원 이었다.
▲ '나그네' 곡을 마지막으로 부르다 ©최영숙 |
|
어쿠스틱 음악제가 밤 10시에 끝났다. 돌아가려는데 어디선가 음악소리가 들렸다. 소리나는 방향으로 갔다. 제 8회 시흥갯골축제의 마지막 공연은 해수풀 마당에서 시흥시립전통예술단의 공연으로 열리고 있었다. 마지막 곡으로 '나그네'를 불렀다. 이것으로 공식적인 모든 행사는 끝났다.
제8회 시흥갯골축제에 참여한 사람들의 의견을 들었다.
수원에서 가족과 함께 3 년을 왔다는 이정복(43) 씨는 "예전의 질척한 행사장은 벗어났지만 여전히 어수선하다" 그러나 "매년 좋아지는 것이 보여서 좋다. 내년에도 아이들과 함께 올 것이다."라고 했다." 오산에서 온 김태순(56) 씨는 " 인터넷을 보고 왔다. 자연친화적이고 많이 걸을 수 있어서 좋다. 축제 분위기가 좋다." 부천에서 온 김정아(7) 어린이는 "놀 것들이 많아서 좋다. 오리배 타는 것이 제일 재미있었다. 내년에도 오고 싶다."고 했다.
행사에 참여했던 분은 "음식을 마을 주민들이 해서 양도 넉넉하게 주고 음식도 맛있었다."고 했다. 장곡동에서 온 이경일(93) 씨는 “혈압과 당뇨를 검사받았다. 어린이들 위주의 축제여서 나이든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다.”고 했다.
2014년 제 9회 시흥갯골축제는 2013년의 부족한 부분들을 보강하여 더욱 풍성한 축제가 되기를 바랐다.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