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홍도에서 태어난 괭이갈매기, 일본까지 날아간다

텃새 ‘괭이갈매기’, 550㎞ 떨어진 일본 도쿠시마현에서 발견

이상애 | 기사입력 2016/03/22 [01:10]

경남 홍도에서 태어난 괭이갈매기, 일본까지 날아간다

텃새 ‘괭이갈매기’, 550㎞ 떨어진 일본 도쿠시마현에서 발견

이상애 | 입력 : 2016/03/22 [01:10]

일본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동남아 철새 개개비는 흑산도에서 발견

텃새 ‘괭이갈매기’, 550㎞ 떨어진 일본 도쿠시마현에서 발견  

 

환경부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그동안 텃새로 알려진 우리나라 괭이갈매기가 550떨어진 일본에서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텃새는 1년 중 동일지방에 생활하며 계절에 따라 이동을 하지 않는 조류를 말한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는 괭이갈매기를 부산광역시 강서구 사하구 일대의 낙동강 하구에서 서식하는 갈매기과의 텃새로 정의했었다.

 

그러나 이번 괭이갈매기의 이동경로 파악에 따라 개정될 것으로 보인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해 6월 괭이갈매기의 이동경로 파악과 기후변화 연구를 위해 경남 홍도에서 가락지를 부착한괭이갈매기 새끼가 4개월 후, 550떨어진 일본 도쿠시마현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 괭이갈매기와 개개비 이동경로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경남 홍도에서 태어난 괭이갈매기 어린 개체에가락지(206, 090-05686)를 부착해 방사했다. 이 개체는 지난해 1019오른쪽 날개가 부러진 채 낚시줄에 엉켜 있다가 일본 도쿠시마현의어부에 의해 구조됐다. 이 개체는 야마시나 조류연구소에 보내졌고 연구소 담당자가 지난해 10월 말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에 가락지정보의 확인을 요청하면서 이러한 사실이 밝혀졌다.

 

▲ 구조되어 치료 보호중인 괭이갈매기  모습   ⓒKazuto Yoshida

 

괭이갈매기는 한국, 중국, 일본 등 극동아시아 지역에만 분포하는 바닷새로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무인도에서 집단 번식하는 대표적인텃새다괭이갈매기는 태어난 지 2~3개월 후에 태어난 곳을 떠나 흩어져 3년 이상 성장하다가 어른 새가 되어 번식을 시작한다. 이번 일본에서의발견은 국내에서 태어난 괭이갈매기 새끼가 어디까지 흩어지는지를밝힌 첫 번째 사례다.  

 

▲ 일본에서 가락지를 부착하여 흑산도에서 재포획된 개개비    

 

한편, 일본에서 동남아 지역으로 이동하는 철새 개개비가 전남 흑산도에서 발견됐다.국립공원관리공단은20127월 일본 야마시나 조류연구소의 니가타현출장소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개개비를 지난해 8월 흑산도에서 발견하고 이에대한 정보를 지난해 9월 해당 연구소에 통보한 후 확인을 받았다. 

 

이 개체는 최소 생후 3년 이상인 어른 새이며,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지난20124월 일본에서 흑산도로 날아온 개개비를 확인한 이후 2번째로 발견한 개개비다국립공원관리공단은2차례에 걸친개개비의 이동경로 확인으로 개개비 중 일부 개체가 여름철에 번식을 한 이후 월동을 위해 일본에서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서남부 해안 일대를 거쳐 지나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권영수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장은 텃새인 괭이갈매기 새끼의 분산 지역과 철새인 개개비의 국제적 이동경로 확인은 조류의이동생태 연구에서매우 중요한 사실이라며, “앞으로 기후변화와의연관성도 함께 분석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는 신안군 흑산도와 태안해안 학암포,경남 홍도에서 매년 새들에 가락지를 부착해 조사하고 있다지난 10년간 조류 2446954마리에 가락지를 부착했으며, 기후변화 연구를 위해 매년 괭이갈매기 번식시기 변화를 파악 중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조류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가락지 부착조사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 지역 주민의 관심과 제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실제로 지난 20104월 신안군 홍도 주민의 제보로 제비의 일본과 한국 간의 이동경로가 확인됐다. 이번 괭이갈매기의 새끼가 일본까지 이동한다는 사실도 일본 도쿠시마현의 주민의 제보로 알 수 있었다고 한다.

 

번호

종명

가락지 부착일

가락지 회수일

부착 장소

회수 장소

이동거리(직선)

1

쇠개개비

2004.10.24.

2004.11.02.

일본 시마네현

한국 신안군 홍도

705

2

한국재갈매기*

2005.05.18.

2005.12.13.

몽골 에어칸누르

한국 신안군 홍도

2,477

3

쇠개개비

2001.08.19.

2006.05.09.

일본 미야기현

한국 신안군 홍도

1,459

4

알락꼬리쥐발귀

2006.08.15.

2006.08.25.

일본 아오모리현

한국 신안군 홍도

1,508

5

쇠개개비

2008.09.01.

2008.10.10.

일본 홋카이도

한국 신안군 흑산도

1,670

6

바다직박구리

2008.09.17.

2008.10.20.

한국 신안군 홍도

대만 화롄 타이루거국립공원

1,215

7

제비

2007.07.24.

2010.04.22.

일본 돗토리현

한국 신안군 홍도

825

8

검은지빠귀

2010.04.11.

2010.05.09.

한국 신안군 홍도

일본 시즈오카현

1,244

9

붉은어깨도요*

2006.12.19.

2011.04.09.

호주 브룸 로벅만

한국 신안군 흑산도

5,839

10

진홍가슴

2011.09.27.

2011.10.28.

일본 홋카이도

한국 신안군 흑산도

1,967

11

개개비

2010.08.22.

2012.04.26.

일본 이바라키현

한국 신안군 흑산도

1,326

12

사할린되솔새

2010.08.16.

2012.04.30.

일본 홋카이도

한국 신안군 홍도

1,510

13

알락꼬리쥐발귀

2010.09.05.

2012.09.13.

일본 니가타현

한국 신안군 흑산도

1,220

14

노랑눈썹솔새

2012.09.--.

2012.09.29.

중국 헤이룽장성

한국 신안군 흑산도

1,551

15

쇠개개비

2013.09.29.

2013.10.13.

일본 돗토리현

한국 신안군 흑산도

772

16

청다리도요*

2006 이후

2014.04.28.

중국 상해 총밍

한국 신안군 흑산도

485

17

쇠개개비

2011.10.02.

2014.05.17.

일본 시마네현

한국 신안군 흑산도

715

18

알락꼬리쥐발귀

2013.06.22.

2014.09.04.

일본 홋카이도

한국 신안군 흑산도

1,967

19

바다직박구리

2014.08.27.

2014.09.30.

한국 신안군 흑산도

대만 신베이시

1,114

20

쇠개개비

2014.09.27.

2014.10.17.

일본 홋카이도

한국 신안군 흑산도

1,886

21

되새

2013.11.14.

2014.10.18.

일본 나가사키현

한국 신안군 흑산도

478

22

노랑턱멧새

2009.11.06.

2010.04.19.

한국 신안군 흑산도

중국 헤이룽장성

1,212

23

개개비

2012.07.25.

2015.08.31.

일본 니가타현

한국 신안군 흑산도

1,289

24

괭이갈매기

2015.06.22.

2015.10.19.

한국 통영시 홍도

일본 도쿠시마현

553

 * 철새연구센터의 가락지부착조사를 통한 총 15종 24개체 국가간 이동경로 확인 

 

 

 

 

 

소유가 아닌 접근으로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철새이동경로 괭이갈매기 이동경로 관련기사목록
주간베스트 TOP10